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os구조 윈도우 본문
윈도우 관리자의 역할
– 입출력 관리자(I/O Manager) :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
– 객체 관리자(Object Manager) : 파일, 포트, 프로세스, 쓰레드 등의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
– 보안 참조 관리자(Security Reference Monitor Manager) : 각 데이터나 시스템 자원의 제어를 허가 하거나 거부함
– 프로세스 관리자(Process Manager) : 쓰레드를 생성하고 요청에 따라 처리
– 로컬 프로시저 호출 관리자(Local Procedure Call Manager) : 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장치
– 가상 메모리 관리자(Virtual Memory Manager) : RAM의 메모리를 할당하고,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(Paging)을 제어
– 그래픽 장치 관리자(Graphics Device Interface Manager) : 화면에 선이나 곡선을 그리거나 폰트 등을 관리
– 기타 관리자 : 캐시(Cache) 관리자, PNP(Plug and Play) 관리자, 전원 관리자 등이 있다.
윈도우의 파일 시스템
– FAT: 2GB까지를 한 파티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. FAT 테이블의 기본 크기는 16비트인데, 이는 하드 디스크에 파일을
담는 최소 단위인 클러스터(Cluster)가 32KB이기 때문이다. 전체 가능 용량
2GB(216*32*1024=221=2*1024*1024)로 제한된다.
– FAT32 : 윈도우 95 OSR(OEM Service Release)2에서 처음 도입된 FAT32는 FAT와는 비교할 수
없을 만큼 용량이 커져 총 32비트(232) 개의 클러스터를 가질 수 있다. FAT와 마찬가지로 접근 제어 설정이 불가능하다.
–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는 NT 계열에 적용되기 시작한 NTFS(New Technology File System)에서 접근
제어가 가능하다. NTFS는 FAT와 OS/2의 HPFS의 장점을 모은 파일 시스템으로 윈도우7이나 윈도우 서버 2008에는
NTFS 6.0이 적용되고 있다.
윈도우
h/w - hal - 마이크로 커널 - 관리자 - ap ( 어플리케이션 = 응용 소프트웨어 = 응용 프로그램 )
리눅스
h/w - 커널 - shell - a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