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
RAID 주변장치관리 본문

자격증/정보보안기사

RAID 주변장치관리

romance penguin 2017. 2. 7. 15:35
반응형

RAID - 데이터를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병렬로 읽는 장치


raid 0단계

-데이터를 분산저장 = strip

-저장속도가 빠름

-중복기록 x

-안전성이 없음

-스트라이핑


raid 1단계

-백업용 디스크

-실제 사용용량 절반

-가장 안정적인 단계

-느리다

-미러링


raid 2단계

-기록용 디스크

-복구용 디스크

-해밍 코드를 사용

-SCSI 기본적으로 에러검출 능력이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다.


raid 3단계

-스트라이핑 방식 기본

-별도의 패리티 정보를 디스크에 저장

-byte단위로 저장

-동기화 과정

-패리티 디스크가 손실나면 복구 불가능


raid 4단계

-블록단위 저장

-작은 데이터를 한번에 처리가능


패리티 검사(parity check)

-1차원 패리티 : 홀짝 검사, 데이터의 끝에 패리티 비트가 붙어 홀수나 짝수로 만든다.

-2차원 패리티 : 비트의 블럭이 행열로 구분



raid 5단계

-패리티를 모든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한다.

-병목현상x

-읽기성능이 저하

-보통 hot spare를 두어 복구용 디스크로 쓴다.


raid 6단계

-패리티를 듀얼로 저장하는 방식

-안전성

-갱신을 여러번 해야하므로 성능저하



raid 7

-컨트롤러가 내장된 실시간 os사용



*raid설정은 바이오스 설정화면에서 진행한다.






반응형

'자격증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파일구조  (0) 2017.02.07
파일관리  (0) 2017.02.07
스풀링  (0) 2017.02.07
디스크 스케줄링  (0) 2017.02.07
cpu할당 스케줄링  (0) 2017.02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