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
RSA암호 본문

자격증/정보보안기사

RSA암호

romance penguin 2017. 2. 7. 18:23
반응형

대칭키시스템

1.공개키로 암호화 한다.

2.개인키로 복호화 한다.



RSA는 공개키,개인키 어떤 키로든 암복호화 할수있다.


1.두개의 소수를 선택, (p,q)

2.N=q*q, N생성

3.사용자의 공개키(e,33) 개인키(d,33)

4.오일러 피함수 (p-1)(q-1)

5.피함수값과 서로 소의 관계가 되도록 임의의 공개키e를 선정. (서로소=최대공약수가 1)

6.e*d % 오일러피함수 = 1 의 관계에 있는 개인키 d를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



예제

1. p=7, q=11 소수선정 n=p*q=77 n값계산

2.(p-1)*(q-1) = 60 오일러함수 값 계산

3.60과 서로소 관계에 있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 선정 e=7

4.e*d % 60 = 1을 만족하는 d=43

5.평문 8을 암호화 하면 c = 8^7 % 77 = 57

6.복호화 57^43 % 77 = 8


공개키(7,77) 개인키(43,77)



큰 수(1024bit이상되어야 안전)를 p,q로 선정

해독에는 많은시간이 걸린다.

rsa의 키는 계속 봐뀌기 때문에 찾는것이 거의 불가능.




반응형

'자격증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파일권한  (0) 2017.02.08
악성코드  (0) 2017.02.07
패스워드 크래킹 도구  (0) 2017.02.07
패스워드 크래킹  (0) 2017.02.07
리눅스 파일구조  (0) 2017.02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