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데이터 링크층 오류제어 본문
오류 제어 기법
전진 오류 수정(forward error correction, FEC)
-수신측에서 오류 검출/정정
-송신시 오류 복구를 위한 잉여 비트를 추가 하여 전송하는 방식
후진 오류 수정(backward error correction, BEC)
-송신 측에 오류 사실을 알려서 재전송으로 복원하는 방식
전진오류수정
-해밍코드
-수신측 자신이 직접 오류를 수정하는 방식
-자기 정정 부호, 1bit의 오류를 수정하는 방식
-1,2,4,8,16 ~ bit위치에 패리티 bit를 삽입
-단점 : 패리티 비트의 다수 추가
-순환 중복 검사(CRC)
-여러개의 bit오류 수정
-패리티 검사방식
-7~8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문자에
-패리티 비트 후가
-블럭합 검사
-수평 패리티 비트 추가
-수직 패리티 비트 추가
-블록합 문자 추가 전송
- 단점 : 연속된 같은위치의 두개의 bit들의 오류는 검출 불가
검출후 재전송 방식
-정지 대기
-수신측에서 ack or nak(에러발생)을 보냄
-송신측에서 nak를 받으면 재전송
-장 : 간단하다.
-단 : 송신측이 ack를 수신할때까지 다음 프레임 전송불가
-go-back-n방식
-송신측은 프레임의 개수 감시표시자(window)크기 만큼의
-프레임들에 순서 번호를 부여
-에러 발생시 nak+오류프레임 순서번호 전송
-송신측은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부터 그이후프레임 재전송
-selective-repeat ARQ방식
-go-back-n과 달리 nak에 해당되는 프레임만 재전송
-전송효율좋음
-송신순서를 벗어난 전송이 많이 발생할수 있다.
-구현방법 복잡
-적응성 ARQ 방식
-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가능
-수신측은 오류발생율을 검사
-송신측을 발생율을 이용하여 적절한 프레임길이 결정
-전송효율 좋음
-각 장치의 제어회로가 복잡해짐
'자격증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위치 방식 (0) | 2017.03.05 |
---|---|
osi7 layer (0) | 2017.03.05 |
2/28 (0) | 2017.02.26 |
ssl (0) | 2017.02.14 |
sql injection (0) | 2017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