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
인텔 32bit x86 cpu 레지스터의 이해 본문

메모

인텔 32bit x86 cpu 레지스터의 이해

romance penguin 2017. 1. 4. 16:19
반응형

각각 32bit의 크기를 차지하는 저장공간

cpu가 가지는 개별적인 공간


범용 레지스터

-일반 레지스터

EAX - 누산기( 계산하는 역활 )

EBC - 간접주소지정

ECX - 반복문 카운터

EDX - 데이터 저장


-인덱스 레지스터

ESI, EDI - 문자열 비교 및 저장


-스택 포인터

EBP - 베이스

ESP - 스택의 top

#부가설명 : 프로그램의 코드에서 함수나 지역변수, 함수호출후 돌아갈 명령어주소 는 스택에 저장 이 된다. 스택은 비교적 뒤에 있으며 스택이 등지는 주소쪽에는 커널같은? 운영 공간이 있다.

힙( malloc 메모리를 할당하는 공간 )과 마주보며 한 세그먼트 구역을 공유한다.


명령어 포인터

EIP - 다음 실행할 명렁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


세그먼트 레지스터

플래그 레지스터


#스택 포인터와 명령어 포인터를 주의 깊게 보자..!!



반응형

'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실습 : 세그먼트 구조 이해하기  (0) 2017.01.04
메모리의 세그먼트 구조  (0) 2017.01.04
기본 어셈블리 명령어  (0) 2017.01.04
쉘코드의 정의  (0) 2017.01.04
[크롤링] apach nutch  (0) 2017.01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