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땀한땀 정성들인 코딩
perl언어 공부 시작!! 본문
참고 사이트 http://www.perl.or.kr/
한국 펄사용자 모임
되게 오래된듯 하다..
perl이란?
파일로부터 데이터 추출 다시 새로운 파일 구성 하는데 좋은 언어
문자열 처리에 좋다.
인터프리트 언어
기계어 - 어셈블리어 - 컴퓨터 언어(c언어, java 등)
기계어로 봐꿔주는 과정을 컴파일 (컴파일러)
인터프리트 언어로 봐꿔주는것을 인터 프리터
java소스코드 >>-인터프리터>>> byte코드 >>-컴파일>>> 기계어
왜하냐?
1. 편한 디버깅( 한줄씩 봐꾸기 때문에 )
단점 : 바로 컴파일하는 것보다 느리다.
perl의 변수
1.scalr variable 방향성이 없는 가변적 변수
$x = 1000; # 정수형,실수형 구분이 없는 모든 숫자는 실수형으로 저장
$x = "abc"; # 문자열로 도 변경이 되고
$x = "1000";# 문자열로 저장된 변수로 계산도 가능하다.
2. array 배열
@array; # @로 선언
$array[0]; # 각 구성요소는 일반변수
$array[1];
$length = $#array; #배열의 길이
@arr = (1,2,3,"last member");
$size = @arr;
print "$size\n"; #4를 출력, 배열의 크기를 알아내는 다른방법
3. Associative array 해쉬( hash ) 배열과 비슷하지만 참조번호가 아닌 key로 탐색 ( python의 dict와 비슷?)
%hash = ("apple",3, "peer", 10);
$how = $hash{"apple"} # returns 3
$hash{ peer } = 9; # 수정하기
'언어 > per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erl의 명령행 인수 @ARGV (0) | 2017.01.03 |
---|---|
perl의 디렉토리 다루기 (0) | 2017.01.03 |
perl의 파일다루기 (0) | 2017.01.03 |
perl연산자 (0) | 2017.01.03 |
perl print문 배우기 (0) | 2017.01.03 |